본문 바로가기

파이어족을 꿈꾸며/원페이지의 힘

[원페이지의 힘] 성과내는 가장 쉬운 방법 "피드백(Feedback)"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잇님들

원페이지로 핵심만 정리해서 경제, 경영 등 다양한 주제를 공부해 보는

원페이지의 힘!

시간입니다.

오늘 배워볼 주제는 바로 "피드백(Feedback)입니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하루에도 수많은 피드백을 하며 살아갑니다.

가령 오늘 아침에 본 SNS에 좋아요를 누른다든가, 기사 내용에 댓글을 다는 것 역시

넓은 의미에 "피드백", 즉 "상호작용"입니다.

이러한 피드백에 대한 관심은 많은 경영, 경제 주류에서도 다뤄졌습니다.

피드백에 대해 저명한 경영학자들의 정리와 피드백을 회사나 내가 속한 조직에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짧고 명쾌하게 정리해 볼게요~

 

 

지식 근로자를 위한 확실하고도 유일한 학습방법은 “피드백”이다

-피터 드러커-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피터 드러커" 선생님의 말씀입니다.

많은 저서와 명언이 있지만 피드백에 대해서

현대를 살아 하나는 지식 근로자가 할 수 있는

가장 훌륭한 학습법으로 "피드백"을 얘기했습니다.

 

애덤 그랜트는 "싱크 어게인"이라는 경영 저서로 유명한 미국의 경영학자입니다.

하버드 박사학위를 최연소로 받은 걸로 유명하시죠

 

부정적인 피드백을 귀한 선물로 생각하라

개선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것이다.

따라서 비판을 듣지 않겠다고 귀를 막는 것은

현재 수준의 기술에 만족하겠다고 체념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피드백을 받는데 익숙해지려면 피드백을 선물로 생각하면 된다.

피드백을 주는 사람은 내가 최고의 결과를 낼 수 있도록

내게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 것이다.

그대로 따르지 않더라도

열린 마음으로 감사히 받으면 그만이다.

-애덤 그랜트

 

#애덤그랜트 역시 피드백의 중요성에 대해 위와 같이 글을 남겼습니다. 한국 사람들이 특히나 피드백에 약한 게 사실입니다. 저 역시 회사 생활을 15년째 하고 있지만 상대방의 피드백에 열린 마음으로 경청하고 받아들이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부정적인 피드백을 마주하고 받아들여야만이

가장 훌륭한 성과를 낼 수 있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럼 피드백하는 좋은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AAR(After Action Review/ 사후 분석 기법)

1. 얻고자 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2. 얻은 것은 무엇인가?

3. 차이와 그 원인은 무엇인가?

4. 해야 할 행동은 무엇인가?

5.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은 무엇인가?

AAR은 미국 해군 특수부대인 "네이비 씰"의 훈련 후 피드백 방법으로 아주 유명합니다.

이미 대부분의 회사들이 이 방법을 적용해 회사에서 프로젝트 이후 혹은 성과 평가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사후, 일이 끝난 직후 함께 진행한 모든 사람이 모여 피드백하는 방법입니다.

AAR 양식
 

만약 모여서 피드백 하기 어렵거나 시간이 부족한 경우 위와 같이 양식을 통해 서로 확인하거나 작성하여 상급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습니다.

양식은 제가 심플하게 만들어 봤는데 KPI(성과지표)나 피드백 내용은 수정, 추가하시면 됩니다.

 


 

 저 역시 10년 넘는 회사 생활 동안 수많은 피드백 회의 혹은 피드백 자료를 만들어 제출한 게 생각이 납니다. 앞만 보고 실행하고 또 실행하다 보면 많은 시행 착오와 다시 돌아갈 수 없는 길을 지나 프로젝트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피드백"만이 내가 하고 있는 일이나 액션이 처음 정했던 방향대로 가고 있는지, 더 효과적인 방법은 없는지 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 감히 말합니다.

피드백을 진행할 때에는

제 개인적인 소견으로 중요한 3가지를 정리해 보면

1. 끝난 직후 전원이 모여서 진행

2. 비난 금지&긍정성 유지하는 자세

3. 발견한 내용은 현장에 반드시 적용

입니다.

이미 우리는 일상에서 매일매일 수많은 피드백과 마주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일부터 회사나 공적인 일까지 계속적인 피드백을 주거나 받습니다.

피드백을 좀 더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학습한 내용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바로 적용한다면

더욱 성장된 나를 발견하고 훌륭한 성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원페이지 정리는 여기까지입니다.

더 유익한 내용으로 열심히 준비해 다시 찾아뵐게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